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생활

역류성 식도염, 증상 및 치료

by healthlandlife 2023. 4. 19.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다시 돌진하여 식도 내벽에 염증과 자극을 일으킵니다.  이것은 속 쓰림, 가슴 통증, 삼키는 문제, 산이나 음식물 역류와 같은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부 식도 괄약근 약화 또는 이완 LES라고 불리는 근육 고리는 위와 식도 사이의 밸브 역할을 합니다.  LES는 위산이 약하거나 불규칙한 방식으로 이완되면 식도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열공 탈장은 위의 일부가 횡격막을 통해 흉강으로 돌출될 때 발생합니다.  이것은 LES를 약화시키고 위산 역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위장에서 음식물을 처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면 위산의 역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임산부의 경우 자궁이 커지면서 위를 압박하여 위산의 역류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비만은 위와 LES의 압력을 가해 위산역류가 생기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흡연과 아스프린, 이부프로펜, 혈압약과 같은 약물복용이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위산의 역류로 인해 속 쓰림 증상입니다. 속 쓰림 증상은 입안에서 쓴맛과 신맛이 느껴지며 위산 역류를 유발하는 음식물 섭취 후 몇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물이 입이나 목안으로 역류하는 느낌이 나는 증상입니다.  음식물을 섭취 시 삼킴 곤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식도 내벽에 상처나 염증으로 인해 음식물과 액체가 식도를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때때로 가슴통증과 함께 열이 동반되기도 하여 심장마비 증세로 오인하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만성기침, 구토, 딸꾹질, 충치 및 구취 같은 증세가 가끔씩 나타납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식도의 출혈, 궤양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을 내방하여 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역류성 식도염 치료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는 궁극적으로 식도로 흘러가는 위산의 양의 줄여 식도 내벽의 염증을 치유하는 것입니다.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식생활 개선입니다.  식사를 소량으로 자주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카페인, 알코올, 지방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 산이 많이 나오는 감귤류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흡연은 LES를 약화시키고 위산역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금연이 도움이 됩니다.  과체중일 경우 체중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체중이 감소하면 위와 LES 압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위산 역류를 저하시켜 줍니다.  수면 시 머리 부분을 15~20cm 정도 높여주면 위산 역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식생활 개선과 함께 약물 치료를 병행하면 효과적 입니다.  위산 생성을 줄이는 약물인 PPI로 위 내벽의 치유를 도와 증상의 완화를 시켜줍니다.  PPI의 대표적인 약물은 에소메프라졸, 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및 판토프라졸이 있습니다.  위산 생성을 줄이는 또 다른 약물은 H2 차단제입니다.  대표적인 H2 차단제는 파모티딘, 라닌티딘 및 시닌티딘 입니다.  위산을 중화시켜 위산 역류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제산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제산제로는 Tums, Rolaids, 및 Mylanta가 있습니다.  위 배출 속도를 높여 위산 역류 증상을 완화하는 Prokinetics를 처방하기도 합니다.  Prokinetics의 예로는 Domperidone과 Metocloprimide가 있습니다. 

 

 

증상이 심각하거나 장기간 개선이 없을 시에는 수술적 치료 요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을 통해 Nissen Fundoflication으로 위의 상부를 하부 식도 주위를 감싸 LES를 강화하여 위산 역류를 줄이는 수술입니다.

 

이 외에도 고주파 절제 및 냉동 요법의 내시경 수술을 통해 손상된 조직을 제거하고 식도 내벽의 치유를 돕거나, 식도 확장술을 통해 삼킴 곤란의 증상을 완화시켜주기도 합니다.  비만 수술은 비만인 사람들에게 체중을 줄여 위산 역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의하여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댓글